라즈베리파이 서버 활용 강좌 : 원클라우드 서버 설치
안녕하세요 산딸기마을 이장 나무꾼 입니다.
오늘은 산딸기에 클라우드 웹 서버를 구성 할 수 있는 OwnCloud 설치법을 소개 하려 합니다.
클라우드(??) 간단히 이야기 드리자면, 요즘 클라우드로 유명한 Dropbox, ucloud, 다음클라우드, N드라이브 등… 과 같은 시스템을 산딸기에 구성을 해두어 언제 어디서라도 손쉽게 데이터 이동을 하실 수 있는 기능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OwnCloud의 대표기능은 주소록과 일정 또한 저장관리가 가능한 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막강은 무료클라우드 서비스를 구현 할 수 있습니다.
우선 설치 전 사용자 환경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하드웨어 : 산딸기(RaspberryPi)
- 소프트웨어 : Raspbian / Arch Linux / Gentoo 등…
- 웹 서버 구성 : Apache2 , Nginx 등… 기반 웹서버 구성
- 클라우드용 미디어 : 외장형 하드디스크
* 우선 위에 있는 환경 중 저 같은 경우, 설치를 환경구성을 위해 산딸기에 Raspbian+Apache2+php+slqlite 을 사전 구성 후 OwnCloud를 설치 및 구성 하였습니다.
자 그럼 이제부터 산딸기에 OwnCloud를 설치해 보겠습니다.
(저는 Raspbian 을 기반으로 설치하였습니다. )
1. 웹 서버 및 DB 구성하기
sudo apt-get install apache2 php5 php5-gd php5-sqlite libcurl4-openssl-dev php5-curl php5-common php-xml-parser sqlite
2. 웹서버 구동 테스트 (Apache 기준)
자 이제 OwnCloud 서버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은 준비가 되었습니다.
- 기존에 웹호스팅 이나 서버를 구성하여 두셨다면, FTP 를 이용하여 OwnCloud 웹을 통해서 다운로드 받아두신 파일을 업로드 하시어도 무방합니다.
저는 Raspbian을 막 설치한 경우 이기에 wget 명령어로 직접 다운로드를 받아 설치해 보겠습니다.
3. OwnCloud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
cd /var/www/ sudo wget https://download.owncloud.org/community/owncloud-8.2.0.tar.bz2 sudo tar -xjf owncloud-5.0.0.tar.bz2
정상적으로 압축이 해제되어 owncloud 라는 폴더가 생성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“이젠 owncloud를 웹에서 설치하면 되겠다” 라고 생각하시고 접속을 해보니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…
맞습니다. 아직 모든 것이 끝이 난것이 아닙니다.
OwnClould를 웹에서 설치 및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아파치환경 구성과 Owncloud 환경설정을 해주셔야 합니다.
4. Apache2 및 OwnCloud 환경설정
가장 먼저 하실 일은 웹에서 접속을 하는 것이니, 웹 권한으로 변경을 해줍니다.
sudo chown -R www-data:www-data /var/www/owncloud
이제 http://아이피/owncloud 로 접속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 합니다.
*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기존에 산딸기 로그인 시 사용하시던 계정입니다.
아래는 “ Finish Setup ” 을 클릭하시면 처음 만나는 화면입니다.
설치 후, 관리자 화면으로 이동하여 설치가 정상적인지 확인 합니다.
이제 즐겁게 웹서버를 이용하시면 됩니다. 고생 하셨습니다.
TIP.
한글이 깨져보이시나요 ??
OwnCloud 의 경우, “en_US.UTF-8 UTF-8” 를 기본으로 설정이 되며, “ko_KR.UTF-8 UTF-8” 기본으로 locales 추가 설정하면 한글 이용이 가능합니다.
보안설정관련 에러메세지는 아래 내용을 추가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.
sudo nano /etc/apache2/sites-enabled/000-default
위 파일을 열어 아래 내용을 추가 해 줍니다.
<VirtualHost *:80> ServerName $domain DocumentRoot /owncloud/public/ ServerAdmin webmaster@$domain <Directory /owncloud/public/ >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All Order allow,deny allow from all </Directory> ErrorLog /var/log/apache2/error_$domain.log </VirtualHost>
용량제한 설정
sudo nano /etc/php5/apache2/php.ini
#find the values
upload_max_filesize = 2M
post_max_size= 2M
9 Replies to “라즈베리파이 서버 활용 강좌 : 원클라우드 서버 설치”
Comments are closed.
좋은 글 잘봤습니다.
라즈의 경우 cpu와 ram 모두 제한이 많죠…
이왕이면 좀 더 가볍고 메모리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apache도 2.4 이상 소스로
dso, mpm, event 방식으로 컴파일하고, loadmodule을 정말 필요한 것만 올려리고,
mpm설정에 thread의 갯수를 적당한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하시면 메모리와 cpu
모두 좀 더 가볍게 사용할 수 있을듯하네요 ^^
진심어린 조언 감사드립니다. ^^
NGiNX로 전에 시도를 해보았는데, 심하게 서버종류를 타는지 설정을 잘못한건지 오류가 콸콸 쏟아저서 조금 더 빠르게 써보려고 이것저것 여러군데를 돌아다니다보니..
현재는 Lighttpd+php-cgi(memcached, apc)+sqlite3 로 구성하여 사용중입니다.
어느정도 꽤 쓸만하더군요 🙂 다만 아쉬운건 Owncloud 자체 안드로이드 App이 유료라는것 정도..ㅎㅎ
헛 그러세요 ? 전 어제 테스트 했는데 다른 문제는 없었었어요
혹시 패치가 된건지 모르니 나중에 한번 시간되실 때 다시 시도해 보세요 ^^
어제 Nginx+php-fpm+mysql+wordpress+owncloud 로 테스트 했습니다.
OS는 제 자료실에 있는 Raspbian 2013-03-27 버전을 이용했습니다.
추가적으로 오늘은 NAS 서버 구축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.
사용한 NAS program 은 OpenMediavault 입니다.
초기와 달리 이제는 산딸기 버전에서도 오류없이 잘 된다고 해서 테스트 해보구 있습니다. ^^
FreesNAS는 … 여전히 소식히 없네여 ㅠㅠ
헉! 그새 Raspbian 3월자가 나왔나요..ㅎㅎ
아무튼 OMV 테스트 별 문제 없어서 실사 가능하면 좋겠네요. 그러면 거기로 바로 넘어갑니다..ㅋㅋㅋ
현재 OMV 설치는 문제 없이 진행이 됐는데
처음 쓰는 거다 보니 포럼글들이 정말 많네여… ㄷㄷㄷ
언제 다 읽죠 ㄷㄷㄷ
raspbian 은 컴파일 이랑 펌웨어가 조금 번호가 바뀌었어여 머가 바뀐진 모르겠네여 ㅎㅎ
이거 밖에서도 owncloud로 연결할 수 있나요?
아니면 집에서만 가능한가요?
혹시 집에서만이라면, 밖에서는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?
iptime의 ddns 기능을 사용하면 될듯 합니다